지금 시대에는 신용카드는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일반적인 결제수단이 되었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으며 카드 한 장으로 온라인 쇼핑, 구매, 여행 등등 다양한 생활에서 편리하게 결제를 합니다. 이렇게 편리한 신용카드도 연체와 신용도 하락 없이 대금을 제대로 지불해야 이용가능한데요. 오늘은 신용카드 결제일을 언제로 해야 효과적이고 제대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1. 신용카드 결제일이란?
카드 사용자에게 매달 청구되는 결제 금액을 지불해야 하는 날짜로 일정기간 동안 사용내역을 정산하고 청구서를 발행하는 시점입니다. 결제일은 고객이 지정할 수 있으며 매월 10일, 15일, 20일, 25일 등등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결제일이란...
카드 사용자에게 매달 청구되는 결재금액을 지불하는 날짜
매월 10일, 15일, 20일, 25일 등 고객이 다르게 설정 가능
2. 신용카드 혜택 100% 받는 방법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다양한 혜택을 받기 위해 가입했지만 제대로 몰라 혜택을 못 받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꼭 카드 신청 시 조건을 확인하시고 전월 실적과 할인 한도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신용카드 신청 시
전월 실적과 할인 한도 확인필요
조건을 꼭 맞춰서 100% 혜택 받기!!
3. 신용카드 추천 결제일
카드 결제일을 14일 전후로 설정해 놓으면 전월 1일~말일까지의 사용내역이 결제되어 지출관리가 편리합니다. 다른 날짜로 결제일을 정할 경우 전달과 이번달로 이어져서 월 단위로 계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니 유의 바랍니다.
카드사별 추천 결제일
현대카드: 12일
시티카드: 12일, 13일
삼성카드: 13일, 14일
롯데카드, 국민카드, 농협카드, 우리카드, 신한카드: 14일
기업카드: 15일
📌
전월 1일~말일까지 사용한 금액이 결제되는 날짜이며
카드사 사정에 따리 1~2일 정도 변동 될 수 있습니다.
(카드사에 따라 13일 또는 15일도 있음)
4. 신용카드 결제일 추천 이유 및 파킹통장 종류
1) 전월 실적 계산이 쉽다.
- 카드 사용기간이 전월 실적 계산일과 같아져 카드 혜택을 위한 실적 계산이 편리
2) 예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좋다.
- 전 달 사용한 금액만큼 결제일에 낼 수 있어서 한 달 동안 쓸 금액을 계산하기가 쉬움
3) 파킹통장을 이용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 월급이 들어오면 결제일까지 파킹통장에 카드대금을 넣어두면 소소한 이자벌기
파킹통장이란?
입출금이 자유롭고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통장
예/적금 형태의 이자
하루만 넣어도 이자 발생
이자의 이자 복리 형태 적용
하루 이자 2~3%가 아닌 연이자
📌
Toss뱅크: 파킹통장(2.0%) / 적용한도 없음
케이뱅크: 플러스 박스(2.3%) / 적용한도 없음
카카오뱅크: 세이프 박스(2.0%) / 적용한도 없음
5. 신용카드 결제일 팁
월마다 결제통장으로 이체하기가 번거롭다면 자동이체 옵션을 활용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청구된 금액을 자동으로 이체되도록 앱을 통해 설정해 놓으면 지불일을 놓치는 일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일과 관련된 알림을 설정해 놓으면 결제일을 잊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신용카드 결제일 팁!!
앱을 통해서 자동이체 옵션 설정하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일 관련 알림 설정하기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신용카드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항상 모니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지출을 막고 관리해서
정해진 기간에 결제금을 지불한다면
신용점수도 향상되고 신용불량자가 되는 것도 막을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2024년 시행] 대중교통비 일부 환급해주는 'The 경기패스' '서울 기후동행카드''K-패스' 도입
2024년부터 대중교통 이용 시 교통비의 일부를 환급해 주는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서울시에서는 '서울 기후동행카드', 국토교통부에서는 'K-패스' 그리고 이번에 발표한 경기도에
issue.arey83.com
[보험대출] 신용무관 및 중도인출 보험약관대출 활용하기 신청 방법 조건 장단점
시장금리가 상승을 하면서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의 대출의 장벽은 높아졌고, 서민금융상품의 금리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서민들은 점점 이자부담이 가중되어
issue.arey83.com
'금융,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2024년 하반기 경제정책 도입 추진 검토 총정리 (0) | 2024.07.11 |
---|---|
[경제] 금리높은 청년우대적금 은행사별 정리 및 정보 (7) | 2024.06.28 |
[2024년 시행] 대중교통비 일부 환급해주는 'The 경기패스' '서울 기후동행카드''K-패스' 도입 (0) | 2023.10.20 |
[청년우대형] 다양해진 청년의 내집 마련 필수 청년 청약통장 조건 및 혜택 (2) | 2023.10.17 |
[청년지원정책]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2차 추가모집 및 조건 신청기간 지급일 금액 (0) | 2023.10.11 |
댓글